[IATA 항공용어 068] Available Period (이용 가능 기간)

Available Period (이용 가능 기간) 1. 용어 (Term) 🇺🇸 Available Period🇰🇷 이용 가능 기간 2. 정의 (Definition) ① 원문Earliest and Latest Period than an option is available or may be used어떤 옵션(서비스 또는 상품)을 사용할 수 있는 가장 이른 시점과 가장 늦은 시점 사이의 기간 ② 부연 설명Available Period는 항공권, 부가서비스, 좌석 예약, 옵션 상품 … Read more

[IATA 항공용어 067] Auxiliary Service Operator (부가 서비스 제공자)

Auxiliary Service Operator (부가 서비스 제공자) 1. 용어 (Term) 🇺🇸 Auxiliary Service Operator🇰🇷 부가 서비스 제공자 2. 정의 (Definition) ① 원문A term used to designate a vendor who provides desired services and/or accommodations needed by the passenger in conjunction with airline space, e.g., car and hotel항공편 예약과 연계하여 승객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 또는 숙박을 제공하는 … Read more

[IATA 항공용어 066] Automated Ticket / Boarding Pass (자동 인쇄 항공권 / 탑승권)

Automated Ticket / Boarding Pass (자동 인쇄 항공권 / 탑승권) 1. 용어 (Term) 🇺🇸 Automated Ticket / Boarding Pass🇰🇷 자동 인쇄 항공권 / 탑승권 2. 정의 (Definition) ① 원문The form of automated ticket and boarding pass described in Resolutions 722c and 722d. It is a single copy non-carbonised ticket (normally on card stock) with each … Read more

[IATA 항공용어 065] Asymmetrical Load Limitation Table (비대칭 적재 제한 표)

Asymmetrical Load Limitation Table (비대칭 적재 제한 표) 1. 용어 (Term) 🇺🇸 Asymmetrical Load Limitation Table🇰🇷 비대칭 적재 제한 표 2. 정의 (Definition) ① 원문Set of related asymmetrical load limitations비대칭 적재 제한 조건들을 집합적으로 정리한 표 ② 부연 설명Asymmetrical Load Limitation Table은 항공기 화물칸의 좌우 측에 적재된 화물 간 허용 가능한 무게 차이의 기준값들을 구조적으로 … Read more

[IATA 항공용어 064] Asymmetrical Load Limitation (비대칭 적재 제한)

Asymmetrical Load Limitation (비대칭 적재 제한) 1. 용어 (Term) 🇺🇸 Asymmetrical Load Limitation🇰🇷 비대칭 적재 제한 2. 정의 (Definition) ① 원문Maximum load acceptable on each side of the compartment floor in relation with each other화물칸 바닥의 좌우 양측 간 균형을 고려하여 허용 가능한 최대 하중 차이 ② 부연 설명Asymmetrical Load Limitation은 항공기 화물칸 내 좌측과 … Read more

[IATA 항공용어 063] Assembly Point (집합 지점)

Assembly Point (집합 지점) 1. 용어 (Term) 🇺🇸 Assembly Point🇰🇷 집합 지점 2. 정의 (Definition) ① 원문A point in the travel itinerary where an entire qualifying group of passengers assemble and commence transportation as a group여정 상에서 자격을 갖춘 승객 전체가 모여 함께 단체 이동을 시작하는 지점 ② 부연 설명Assembly Point는 단체여행(Group Travel) 시, 모든 … Read more

[IATA 항공용어 062] ARNK (Arrival Unknown, 도착지 불명 구간)

ARNK (Arrival Unknown, 도착지 불명 구간) 1. 용어 (Term) 🇺🇸 ARNK (Arrival Unknown)🇰🇷 도착지 불명 구간 2. 정의 (Definition) ① 원문Arrival unknown or via means other than scheduled air service.Used in reservations to fill a gap in the itinerary도착지 또는 그 이후 구간이 정기 항공편이 아닌 다른 수단으로 이동된 경우를 나타내며, 여정 상 항공편이 존재하지 … Read more

[IATA 항공용어 061] Area Load Limitation (구역 하중 제한)

Area Load Limitation (구역 하중 제한) 1. 용어 (Term) 🇺🇸 Area Load Limitation (= Floor Load Limitation)🇰🇷 구역 하중 제한 2. 정의 (Definition) ① 원문Maximum load acceptable on any m² (ft²) of an aircraft floor항공기 바닥의 1제곱미터(또는 1제곱피트)당 허용 가능한 최대 하중 ② 부연 설명Area Load Limitation은 항공기의 화물칸이나 객실 바닥에 단위 면적당 적재할 수 … Read more

[IATA 항공용어 060] Area (구역 / 공간)

Area (구역 / 공간) 1. 용어 (Term) 🇺🇸 Area🇰🇷 구역 / 공간 2. 정의 (Definition) ① 원문The extent or measurement of a surface or piece of land, or a space allocated for a specific use.E.g. Check-in area, or security area at an airport지면, 토지 또는 특정 용도로 지정된 공간의 넓이나 범위를 의미한다.예: 공항의 체크인 구역, … Read more

[IATA 항공용어 059] ARC (Airlines Reporting Corporation, 항공권 거래 정산 기관)

ARC (Airlines Reporting Corporation, 항공권 거래 정산 기관) 1. 용어 (Term) 🇺🇸 ARC (Airlines Reporting Corporation)🇰🇷 항공권 거래 정산 기관 2. 정의 (Definition) ① 원문Airlines Reporting Corporation미국 내 항공사, 전통 및 온라인 여행사, 여행관리회사 간의 항공권 거래 정산을 담당하는 기관 ② 부연 설명ARC는 미국 내 항공권 판매와 수익 정산을 관리하는 민간 상업 기관으로, 여행사 인증,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