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ATA 항공용어 115] Boarding Point (탑승 지점)

Boarding Point (탑승 지점) 1. 용어 (Term)🇺🇸 Boarding Point🇰🇷 탑승 지점 2. 정의 (Definition)① 원문The point at which a passenger is scheduled to embark on a flight of the boarding Member.승객이 탑승 항공사(회원사)의 항공편에 탑승하도록 예정된 지점 ② 부연 설명Boarding Point는 승객이 항공 여정을 시작하거나, 연결편 또는 환승편에 물리적으로 항공기에 탑승하는 공항 또는 구간 출발지를 … Read more

[IATA 항공용어 114] Boarding Member (탑승 항공사 회원)

Boarding Member (탑승 항공사 회원) 1. 용어 (Term)🇺🇸 Boarding Member🇰🇷 탑승 항공사 회원 2. 정의 (Definition)① 원문The Member on whose flight a passenger is to be carried from a boarding point.승객이 특정 탑승 지점에서 이용하게 될 항공편을 운항하는 회원사 ② 부연 설명Boarding Member는 IATA 또는 항공동맹체(Membership Organization)에 속한 항공사 중, 해당 승객을 실제로 탑승시킬 항공편을 … Read more

[IATA 항공용어 113] Boarding Gate (탑승 게이트)

Boarding Gate (탑승 게이트) 1. 용어 (Term)🇺🇸 Boarding Gate🇰🇷 탑승 게이트 2. 정의 (Definition)① 원문An exit/entry from an airport building to an aircraft. Could for example be a boarding gate, arrival gate, departing gate etc.공항 건물에서 항공기로 이동하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나아가는 출입 지점. 예: 탑승 게이트, 도착 게이트, 출발 게이트 등 ② 부연 설명Boarding … Read more

[IATA 항공용어 112] Birthdate (생년월일)

Birthdate (생년월일) 1. 용어 (Term)🇺🇸 Birthdate🇰🇷 생년월일 2. 정의 (Definition)① 원문The date on which an individual party was born.개인이 태어난 날짜 ② 부연 설명Birthdate는 항공 예약, 발권, 신원 확인 절차에서 사용되는 승객의 공식적인 출생일을 의미한다.생년월일 정보는 소아/유아 운임 구분, 보안 심사, 비자 발급 요건, 마일리지 적립 조건, 의료 서비스 요청 등 다양한 서비스에 영향을 준다.항공사의 … Read more

[IATA 항공용어 111] Billing and Settlement Plan (청구 및 정산 시스템)

Billing and Settlement Plan (청구 및 정산 시스템) 1. 용어 (Term)🇺🇸 Billing and Settlement Plan🇰🇷 청구 및 정산 시스템 2. 정의 (Definition)① 원문Method of providing and issuing traffic documents and of accounting and settling accounts between airlines and Travel Agents.항공권 등 운송 서류의 발급을 제공하고, 항공사와 여행사 간 회계 및 대금 정산을 수행하는 방식 ② … Read more

[IATA 항공용어 110] Bilateral Time Limit (상호 시간 제한)

Bilateral Time Limit (상호 시간 제한) 1. 용어 (Term)🇺🇸 Bilateral Time Limit🇰🇷 상호 시간 제한 2. 정의 (Definition)① 원문A bilaterally agreed limitation or restriction of time.상호 간 합의된 시간의 제한 또는 구속 조건 ② 부연 설명Bilateral Time Limit은 두 항공사 또는 항공사와 제휴사, 혹은 항공사와 규제 기관 사이에서 협의에 의해 정해지는 시간상의 제한 조건을 의미한다. … Read more

[IATA 항공용어 109] Berth (침대형 좌석)

Berth (침대형 좌석) 1. 용어 (Term)🇺🇸 Berth🇰🇷 침대형 좌석 2. 정의 (Definition)① 원문Sleeping accommodation as one of the following:(a) a permanent, built-in, full length bunk; or(b) sleeping accommodation converted from normal day time sitting accommodation which for each berth either requires more than one seat or renders more than one seat unusable. 다음 중 하나에 … Read more

[IATA 항공용어 108] BDC (Baggage Determining Carrier, 수하물 규정 적용 항공사)

BDC (Baggage Determining Carrier, 수하물 규정 적용 항공사) 1. 용어 (Term)🇺🇸 BDC (Baggage Determining Carrier)🇰🇷 수하물 규정 적용 항공사 2. 정의 (Definition)① 원문The carrier whose baggage allowances and charges apply.수하물 허용 기준 및 수수료가 적용되는 항공사 ② 부연 설명BDC(Baggage Determining Carrier)는 여정 중 여러 항공사를 이용하는 경우, 어느 항공사의 수하물 규정(허용량, 요금, 크기 및 무게 … Read more

[IATA 항공용어 107] Bay Lock (베이 잠금 장치)

Bay Lock (베이 잠금 장치) 1. 용어 (Term)🇺🇸 Bay Lock🇰🇷 베이 잠금 장치 2. 정의 (Definition)① 원문Lock used by a ULD Position.ULD 포지션에서 사용되는 잠금 장치 ② 부연 설명Bay Lock은 항공기 화물칸 내에 ULD(Unit Load Device)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계적 잠금 장치이다.이 장치는 ULD가 비행 중 움직이거나 이탈하지 않도록 하며, 화물의 안전한 적재와 … Read more

[IATA 항공용어 106] Bay Grouping (화물칸 베이 그룹화)

Bay Grouping (화물칸 베이 그룹화) 1. 용어 (Term)🇺🇸 Bay Grouping🇰🇷 화물칸 베이 그룹화 2. 정의 (Definition)① 원문A grouping of ULD positions (Stack/String) used as a method of maximizing the ULD capacity of a lower hold by not using intermediate locks.하부 화물칸에서 중간 고정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ULD 용량을 극대화하기 위해 ULD 포지션(Stack/String)을 묶어 그룹화하는 방식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