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ATA 항공용어 062] ARNK (Arrival Unknown, 도착지 불명 구간)

ARNK (Arrival Unknown, 도착지 불명 구간)

1. 용어 (Term)

    🇺🇸 ARNK (Arrival Unknown)
    🇰🇷 도착지 불명 구간

    2. 정의 (Definition)

      ① 원문
      Arrival unknown or via means other than scheduled air service.
      Used in reservations to fill a gap in the itinerary
      도착지 또는 그 이후 구간이 정기 항공편이 아닌 다른 수단으로 이동된 경우를 나타내며, 여정 상 항공편이 존재하지 않는 구간의 공백을 예약에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② 부연 설명
      ARNK는 여정(PNR) 중 정기 항공편으로 연결되지 않는 구간, 즉 항공편이 없는 이동 구간(기차, 차량 등)을 표현하는 예약용 코드이다.
      예를 들어, 여정이 서울 → 도쿄 → 오사카 → 부산이고, 오사카(KIX)에서 부산(PUS)까지 항공편이 없는 경우, “KIX → ARNK → PUS”로 표시된다.
      이는 PNR과 항공권 상에서 여정 연결의 논리적 공백을 기술적으로 메우기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 출처

      • IATA Passenger Glossary of Terms
      • IATA Reservations Training Manual

      3. 예문 (Expression)

        An ARNK segment was inserted between Geneva and Zurich, where the passenger planned to travel by train.
        승객이 제네바에서 취리히까지 기차로 이동할 예정이므로 ARNK 구간이 여정에 삽입되었다.

        4. 관련 용어 (Related Terms)

          ① Itinerary Gap
          ② Surface Sector
          ③ Non-Air Segment
          ④ PNR (Passenger Name Record)
          ⑤ Intermodal Travel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