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ATA 항공용어 108] BDC (Baggage Determining Carrier, 수하물 규정 적용 항공사)

BDC (Baggage Determining Carrier, 수하물 규정 적용 항공사)

1. 용어 (Term)
🇺🇸 BDC (Baggage Determining Carrier)
🇰🇷 수하물 규정 적용 항공사

2. 정의 (Definition)
① 원문
The carrier whose baggage allowances and charges apply.
수하물 허용 기준 및 수수료가 적용되는 항공사

    ② 부연 설명
    BDC(Baggage Determining Carrier)는 여정 중 여러 항공사를 이용하는 경우, 어느 항공사의 수하물 규정(허용량, 요금, 크기 및 무게 제한 등)이 적용되는지를 결정하는 항공사를 의미한다.
    IATA Resolution 302에 따라 MSC(Most Significant Carrier) 또는 표준 규칙 기반 결정을 통해 국제선에서 누구의 수하물 기준이 적용될지를 정의하며, 여객 예약 시스템(GDS)과 항공권 발권 시 자동으로 설정된다.
    BDC의 결정은 승객에게 수하물 관련 혼선을 방지하고, 명확한 요금 및 규정을 고지하는 데 목적이 있다.

    📚 출처

    • IATA Resolution 302 – Baggage Provisions
    • IATA Passenger Services Conference Manual (PSCM)

    3. 예문 (Expression)
    Even though the first flight was with a regional partner, the BDC was the long-haul carrier, so its baggage policy applied.
    첫 항공편은 지역 제휴사였지만, 수하물 규정 적용 항공사는 장거리 노선 항공사여서 그 항공사의 수하물 기준이 적용되었다.

    4. 관련 용어 (Related Terms)
    ① Baggage Allowance
    ② Most Significant Carrier (MSC)
    ③ Interline Itinerary
    ④ Baggage Rule
    ⑤ Resolution 302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