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A-VDGS

사람 없이 자동으로 항공기 주차 가이드를 해준다구요?

63. VDGS (Visual Docking Guidance System)
시각 주기 유도 시스템

※ A-VDGS (Advanced Visual Docking Guidance System)

 

✏️ Definition | 정의

A-VDGS (Advanced Visual Docking Guidance Systems) feature electronic displays which perform the functions of an AGNIS/PAPA installation, although with much greater accuracy. They may also provide collision avoidance from static objects. An infrared high definition camera is scanning the entire area for possible objects, affecting the safety of the aircraft. The A-VDGS, is equipped with a low visibility function allowing aircraft to park in extremely poor visibility conditions.

 

A-VDGS 는 AGNIS(센터라인으로 진입하기)와 PAPA (정확한 자리에 멈추기) 의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디스플레이를 특징으로 하며, 더욱 훌륭한 정확도를 가지고 있다. 정지된 물체와의 충돌 방지 기능도 제공한다. 고해상도의 적외선 카메라가 전 구역의 항공기의 안전에 영향을 주는 가능한 모든 물체들을 스캔한다. A-VDGS 는 항공기가 시정이 극도로 안좋은 조건에서도 주기를 할 수 있도록 저시정 기능을 갖추고 있다. 

 

- AGNIS (Azimuth Guidance for Nose-In Stand) 항공기가 주기장 센터라인에 위치하도록 도와 주는 시스템

- PAPA (Parallax Aircraft Parking Aid) 운항 승무원이 항공기를 멈춰야 할 때를 알려 주는 시스템

- collision 충돌

- avoidance 피하기, 회피

- static 정적인, 정지된, 정전기의

- infrared 적외선의 (infrared photo 적외선 사진)

- low visibility 저시정

 

✈️ Viewpoint of Airliner | 종사자의 이야기

통상 항공기가 주기를 할 때는 항공기 유도사 (Marshaller) 의 가이드를 받는다. 하지만 사람이 하는 일은 언제나 기계로 대체가 가능한 법이다. A-VDGS (Advanced-Visual Docking Guidance System, 시각 주기 유도 시스템)은 ‘항공기 유도사’ 없이, 항공기가 터미널에 진입하여 주기할 때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제공해주는 최첨단 안내 시스템을 말한다. 우리가 취항하는 해외 노선은 방콕 및 클락 공항에서 A-VDGS를 운영하고 있다.

 

* 항공기 유도사 (Marshaller)

항공기 유도사 (Marshaller)

 * VDGS 작동 방식 

https://youtu.be/RNf6_k4ydTI

 

📖 Reference | 참고 자료

1. THE NEW ADVANCED VISUAL DOCKING GUIDANCE SYSTEM (A-VDGS) AT SUVARNABHUMI INTERNATIONAL AIRPORT (VTBS)

https://aip.caat.or.th/2022-09-23/html/eSUP/VT-eSUP-22-18-A-en-GB.html

 

2. VDGS Introduction – VDGS vs. Aircraft Marshalling – Safety Precautions in VDGS Operation

https://youtu.be/kJBGN-tBp6M

 

3. 인천공항공사, 국내 중소기업과 시각주기유도시스템 국산화 개발 성공

https://www.airport.kr/co/ko/cmm/cmmBbsView.do?FNCT_CODE=121&NTT_ID=25055

 

#항공 #항공사 #공항 #비행 #여행 #영어 #항공용어 #항공영어 #지상직 #승무원 #aviation #airline #airliner #airport #flight #tour #english #VDGS #A-VDGS #Marshaller

 

728x90

Jump seat (Phaeton carriage, c.1860)
01
Jump seat (B787 / A319) 

 

jump seat ? 뛰어내리는 좌석?

 

#62.  jump seat, 점프 시트 (보조 좌석)

-  항공기, 마차,  밴, 버스 등의 교통수단에 설치된 접히는 의자 

 

✏️ Definition (영어/한국어)

In airplanes, jump seats can be located in cockpits or passenger cabins. In cockpits, jump seats are provided for individuals who are not operating the aircraft. These might include trainee pilots, off-duty crew members in transition to another airport, government officials, or airline staff. The passenger cabin jump seats are used by the cabin crew, especially during takeoff and landing. These jump seats are normally located near emergency exits so that flight attendants can quickly open the exit door for an emergency evacuation. The passenger cabin jump seats usually fold out of the way when not in use to keep aisles, workspaces, and emergency exits clear.

 

항공기에서 jump seat은 조종실 또는 객실에 위치한다. 조종실에 있는 jump seat은 항공기를 조종하지 않는 개인들을 위해 제공된다. 조종훈련생, 다른 공항으로 이동하는 비근무 승무원, 공무원 (국토부 점검관 등), 또는 항공사 직원들이 이에 속한다. 객실에 있는 jump seat은 항공기 이착륙 시 캐빈 승무원들이 착석한다. 이런 jump seat은 비상 대피 시 캐빈 승무원들이 빨리 비상구 문을 열 수 있도록 비상구 근처에 위치해 있다. 객실 jump seat은 보통 사용하지 않을 때는 통로, 업무 공간, 그리고 비상구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접혀 있다.  

 

* off-duty 비번의, 휴일의

* evacuation 대피, 피난

* workspace 작업 공간

 

✈️ Viewpoint of Airliner (종사자의 이야기)

jump seat 이라는 용어는 1860년대에 처음 등장했다. 그것은 말이 끄는 마차 뒷자리에 설치된 작고 접히는 의자였다. 그 시대에는 주인의 여행에 동행하는, 주인의 옆자리에 앉기에는 신분이 낮은 식모나 하인 또는 노예들이 jump seat에 앉았다. 고용주의 수행을 위해 필요시 마차 안팎으로 뛰어 (jump) 나가고 들어가야 했기에, 그 자리를 jump seat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항공기 객실에 있는 jump seat은 통상적으로 근무중인 승무원들이 착석을 하지만, 항공편이 만석일 경우 일반 손님이 아닌 직원 티켓(non-revenue passenger)을 가진 사람도 착석이 가능하다. (항공사마다 내부 규정은 다름)

Jump seats (Austrian Airlines)

 

📖 Reference (참고 자료)

1. Wikipedia - Jump seat

https://en.wikipedia.org/wiki/Jump_seat

 

Jump seat - Wikipedia

Airbus A319 door showing folded-up jump seat on the left. In aviation, a jump seat or jumpseat is an auxiliary seat for individuals—other than normal passengers—who are not operating the aircraft.[1] In general, the term 'jump seat' can also refer to a

en.wikipedia.org

 

2. Why Do We Call It a ‘Jump Seat’?

https://www.thehogring.com/2015/03/18/where-did-the-term-jump-seat-come-from/

 

Why Do We Call It a ‘Jump Seat’?

 

www.thehogring.com

 

3. What is a jump seat?

https://www.wikimotors.org/what-is-a-jump-seat.htm

 

What is a Jump Seat? (with pictures)

A jump seat is a seat in an aircraft that's designed for the use of the cabin crew and certain guests of the airline. There are...

www.wikimotors.org

 

728x90

subload ticket은 무슨 항공권 일까?

 

#61. sub-load tickets, 직원 티켓

 

✏️ Definition (영어/한국어)

Sub-load tickets are flight tickets available to airline employees and some family members, usually at a substantial discount ranging from 50% to 90% of face value (AKA ID50, ID90, etc.). Sub-load tickets are essentially standby tickets, meaning that passengers with these tickets will be bumped if the plane is full or the weight limit is exceeded.

sub-load 티켓은 항공사 직원 또는 가족이 사용 가능한 항공권이다. 보통 액면가의 50% ~ 90% 상당의 할인이 제공된다. sub-load 티켓은 기본적으로 대기 티켓으로, 이 말은 항공기가 만석이거나 무게제한이 초과되었을 경우 탑승이 불가 하다.

  • substantial : 상당히, 꽤 많은
  • face value : 액면가
  • essentially : 본질적으로, 기본적으로
    - e.g. Essentially, they have 90 days to leave. 기본적으로 그들은 90일 안에 떠나야 한다.
  • AKA : also known as
  • ID : Industry Discount
  • be bumped : (예약 초과로) ⋯의 예약을 취소시키다- e.g. The flight was overbooked, and Dad was bumped. 그 비행편의 예약이 초과되는 바람에 아빠는 예약이 취소되었다.

 

✈️ Viewpoint of Airliner (종사자의 이야기)

subload 는 ‘subject to load’의 줄임말로, sub-load ticket은 ‘로드(무게, 탑승률)에 영향을 받는’ 티켓 이라는 뜻이다. 통상 항공사에 근무를 하면 할인된 티켓이 제공이 되는데, 확약이 되지 않은 대기 예약 상태의 티켓이다. (= standby ticket) 즉, 빈자리가 있어야 탑승이 가능한 항공권이다.

📖 Reference (참고 자료)

1. [Definition] sub-load tikcets (The flight expert)
https://www.theflightexpert.com/glossary/sub-load-tickets/

 

https://www.theflightexpert.com/glossary/sub-load-tickets/

www.theflightexpert.com



2. [Definition] sub-load tickets
https://www.google.com/search?q=subject-to-load&aff=test123

 

subject-to-load - Google 검색

Sometimes written as subload. Opposite to a confirmed reservation and the same as stand-by. If space fills up with full-fare-paying passengers, 'subload' passengers, such as travel agents on a reduced fare, will not be able to travel.

www.google.com


3. [Article] What it’s really like to fly standby as an airline employee
https://thepointsguy.com/news/how-standby-flights-work-airline-employees/

 

What it's really like to fly standby as an airline employee - The Points Guy

Free travel is one of the most enticing perks of working in the airline industry, but there's a major asterisk involved. Airline employees have access to

thepointsguy.com

#항공 #항공사 #공항 #비행 #여행 #영어 #항공용어 #항공영어 #지상직 #승무원 #aviation #airline #airliner #airport #flight #tour #english

728x90
Mishandled bags


수하물 담당 업무를 맡게 되면 제일 먼저 배우는 것이 WorldTracer 시스템 이다. 수하물 인도 지연은 손님에게 큰 불편을 드리는 것이지만, 시스템을 통해 수하물의 소재가 확인 되었을때의 그 짜릿함을 잊을 수 없다.

60. WorldTracer®, 수하물 추적 시스템


✏️ Definition (정의)

WorldTracer is a SITA / IATA service provided for the tracking of lost or delayed baggage. It has been in operation for many years and is used by all airlines that are members of IATA. It went on line in December 1991 with 11 airline customers at launch.

WorldTracer는 분실 또는 지연된 수하물을 추적하는 SITA/IATA 의 서비스 이다. IATA의 모든 회원사가 사용하고 있으며, 오랜 기간 동안 운영 중이다. 1991년 12월, 11개 항공사들이 최초로 이 서비스를 시작했다.

* trace 추적 하다, 찾아 내다
* track 추적 하다
- e.g. Sniffer dogs tracked them to a remote farm.
냄새 탐지견들이 그들을 찾아 외딴 농장까지 추적했다
* be in operation 운영[영업] 중이다
* launch 출시 / 시작하다, 개시하다

✈️ Viewpoint of Airliner (종사자의 이야기)


"즐거운 여행지에 도착했는데 내 수하물이 없다면?"

내 가방에 붙어 있던 수하물 표가 떨어져 공항 수하물 컨베이어 벨트에서 길을 잃었을 가능성이 높다. 설마 직원이 실수로 내 가방을 다른 나라로 보낸건 아니겠지? (사실 그럴 가능성도 있다.) 얼른 수하물 안내 데스크로 달려가서 수하물 사고 신고서를 작성하자.

수하물표 번호, 가방의 모양, 색깔, 이름표나 외관의 특이사항, 그리고 가방을 배송받을 주소 등을 꼼꼼히 기록한다. 수하물 사고 신고서가 작성이 되면 직원은 해당 정보를 WorldTracer에 입력 한다. 수하물 사고 신고서 사본을 받고 숙소로 가면 내일 아침에 다시 연락을 준다고 한다. 항공사마다 규정이 조금씩 다르지만 이럴때는 일용품 구매비(DNF, daily necessity fee)로 $50 ~ $100 정도 보상을 받을 수 있으니 잊지 말고 요구하자.

📖 Reference (참고 자료)

1. WorldTracer (SITA 소개)
https://www.sita.aero/pressroom/news-releases/worldtracer-celebrates-30-years-of-repatriating-mishandled-baggage/

WorldTracer celebrates 30 years of repatriating mishandled baggage

This year, SITA celebrates the 30th anniversary of WorldTracer, a solution that has established itself as an indispensable tool in helping over 200 million passengers trace their mishandled bags over the decades.

www.sita.aero


2. WorldTracer (Wikipedia 정의)
https://en.wikipedia.org/wiki/WorldTracer

WorldTracer - Wikipedia

WorldTracer is a SITA / IATA service provided for the tracking of lost or delayed baggage. It has been in operation for many years and is used by all airlines that are members of IATA. Most of the low-cost carriers that are based in Europe such as Norwegia

en.wikipedia.org


3. 대한항공 일용품 구매비 안내 사이트
https://www.koreanair.com/lk/en/airport/baggage/damaged-or-lost/baggage-delay

Delayed, Damaged or Lost

Find out how we resolve delayed, damaged or lost baggage issues. Learn about what you need to do if your baggage is delayed, lost or damaged including how to make a claim.

www.koreanair.com


4. WorldTracer 수하물 추적 사이트
http://www.worldtracer.aero/filedsp/pk.htm

#항공 #항공사 #공항 #비행 #여행 #영어 #항공용어 #항공영어 #지상직 #승무원 #수하물 #월드트레이서 #aviation #airline #airliner #airport #flight #tour #english #bag #baggage #worldtracer

728x90
overbooking
overbooking

항공권 결제를 했는데, 탈 수가 없다구요?



The flight was overbooked, and I was bumped.

그 비행편의 예약이 초과되는 바람에 내 예약이 취소되었다.
※ bump 밀어 내다 => was bumped 내 자리에서 밀려나다


59. overbooking, 초과 예약 (= overselling)

✏️ Definition (정의)

Overbooking is an airline's way of ensuring they have no empty seats at take off. It's exactly what it sounds like—an airline sells more tickets than they have seats on the plane. They do this to ensure a full plane when it comes to take-off. (출처 : travelperk.com)

overbooking 은 이륙시 빈자리를 없게 하기 위한 항공사의 수단이다. 단어의 뜻과 정확하게 항공사는 비행기에 있는 좌석수 보다 더 많은 티켓을 판매한다. 그들은 이륙시 확실히 만석을 만들기 위해 이렇게 한다.

* ensure 확실하게 하다

✈️ Viewpoint of Airliner (종사자의 이야기)


"오늘 DB 손님 한 분 있습니다."

항공사들은 항공권 취소 및 노쇼 (no-show) 승객들을 고려하여 항공기 좌석보다 더 많은 티켓을 판매를 하고 있다. 초과 예약은 항공사나 호텔업에서 정상적인 판매 전략으로 불법은 아니나, 서비스를 미제공할 경우 응당 그에 걸맞는 보상을 손님에게 제공해야 한다.

항공사별로 차이는 있지만 통상적으로 유사 시간대의 타사 항공편을 제공 또는 일정 보상금을 지불하고 다음 항공편으로 탑승을 안내하기도 한다. 하지만 적절한 응대가 되지 않을 경우 큰 불만으로 접수가 되며, 공항 직원의 입장에서는 DB 손님 처리 만큼 어려운 일도 없다.

* DB (denied boarding) 탑승 거절
- (=) bumping
- bump (예약 초과로) ⋯의 예약을 취소시키다
* no-show 예약, 약속 등을 해 놓고 나타나지 않은 사람

📖 Reference (참고 자료)

* 용어 정의 (Travelperk)
https://www.travelperk.com/blog/overbooking-airlines-quick-guide-business-travel-processes/

Overbooking of Airlines: a quick guide for your business travel processes

What is an overbooked flight? Why do flight companies overbook? What does it mean for your business and employees? Plus, how to avoid getting bumped.

www.travelperk.com


* USDOT
https://www.transportation.gov/airconsumer/fly-rights#Overbooking

Fly Rights |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Fly Rights A Consumer Guide to Air Travel CONTENTS Air Fares Schedules and Tickets Delayed and Canceled Flights Overbooking Baggage Smoking Passengers with Disabilities Frequent-Flyer Programs Contract Terms Travel Scams To Your Health Airline Safety and S

www.transportation.gov


#항공 #항공사 #공항 #비행 #여행 #영어 #항공용어 #항공영어 #지상직 #승무원 #초과예약 #aviation #airline #airliner #airport #flight #tour #english #overbooking #overselling #db #deniedboarding #bumping

728x90
Travel Bubble
PUS-SPN



코로나 시대, 격리없이 해외여행 하자~!

58. Travel Bubble, 여행안전권역

✏️ Definition (정의)

Sometimes called a travel corridor, a travel bubble is a partnership between two or more places with similar rates of covid-19 that allows for quarantine-free leisure travel in both directions. (출처 : Washington Post)

해당 용어는 travel corridor(여행 복도, 통로)로도 불린다. travel bubble은 비슷한 수준의 covid-19 발생률이 발생하는 양국 또는 그 이상의 국가간에 상호 격리없는 여행을 허용하는 파트너쉽이다.

* [매일경제] 방역 우수 지역 간 안전막(버블)을 형성해 두 국가 간 여행을 허용하는 협약이다. 필수 격리조치 해제 등으로 코로나19 사태 이전처럼 자유로운 여행을 허용한다.

* corridor 복도, 통로
* quarantine-free 격리 없는
- smoke-free 담배 연기가 없는, 금연의

✈️ Viewpoint of Airliner (종사자의 이야기)

오미크론 확진자가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2월 26일 기준 일주일 평균 약 13만명의 확진자가 발생하였다. 곧 정점을 찍고 다시 내려올 것이라고 하지만, 백신을 맞지 못하는 유소아에 대한 감염 걱정이 크다.

방역당국과 국토부의 결정에 따라 에어부산은 3월 16일 부터 트래블 버블 협약이 되어 있는 부산/사이판 노선을 주 1회에서 주 2회로 증편한다. 그 즈음에 싱가폴 창이공항 아시아 지역 담당자로 부터 싱가폴 노선 운항에 대한 계획이 없는지 메세지가 왔다. 싱가폴 출장때 현지 담당자는 국토부에 싱가포르-한국간 여행안전권역 (VTL, Vaccinated Travel Lane) 상호 쿼터를 더 늘리고 싶다는 의향을 지속적으로 밝히고 있다고 하였다. 침체되어 있는 항공업계가 얼른 재도약하여 높이 날개짓을 할 수 있기를 바란다.

📖 Reference (참고 자료)

* Travel Bubble 용어 정의 (Washington Post)
https://www.washingtonpost.com/travel/2020/11/17/australia-singapore-bubble-covid/

* 에어부산 사이판 증편 운항
https://www.yna.co.kr/view/AKR20220222036900051?input=1195m

에어부산, 3월부터 부산∼사이판 노선 주 2회로 늘려 | 연합뉴스

(부산=연합뉴스) 박성제 기자 = 에어부산이 주 1회만 운항했던 부산∼사이펀 노선을 주 2회로 증편 운항한다.

www.yna.co.kr


#항공 #항공사 #공항 #비행 #여행 #영어 #항공용어 #항공영어 #지상직 #승무원 #트래블버블 #사이판 #싱가폴 #격리면제 #여행안전권역 #트래블버블 #aviation #airline #airliner #airport #flight #tour #english #travelbubble #spn #saipan #sin #singapore #quarantinefree #vtl

728x90
2021 Winner of Platinum Award by CIRIUM
2021 OTP Winner by CIRIUM
2020년 국적사 정시율 (국토부)


항공기 정시 운항, 약속을 지키는 항공사


57. OTP, 항공기 정시실적 (정시율)

- OTP : On-Time Performance

✏️ Definition (정의)

OTP, short-hand for On-Time Performance, is a widely accepted method of understanding punctuality for different modes of public transport, not just aviation. It provides a standardised means of comparing how well one service provider operates according to its published schedule compared to another. (출처 : oag.com)

On-Time Performance 의 줄임말인 OTP는 항공업 뿐만 아니라 다양한 대중교통에 대해 정시운항의 이해를 위해 폭넓게 인정된 방법이다. 이것은 하나의 서비스 제공자가 다른 서비스 제공자와 비교하여 공표된 스케쥴에 맞추어 얼마나 잘 운항하는지 표준화된 수단을 제공한다.

* punctuality 시간 엄수
* public transport 대중교통

✈️ Viewpoint of Airliner (종사자의 이야기)

금융거래시 사용하는 OTP는 One Time Password의 약자로 일회용 비밀번호를 의미하며, 항공사에서 말하는 OTP는 On-Time Permformance의 약자로 정시실적(정시율)을 뜻한다.

항공사는 안전성과 정시운항이 가장 중요하다. 통상적으로 출도착 스케쥴 시간 대비 15분을 기준으로 정시운항 유무를 판단한다. 국토부에서도 항공편 정시성 향상을 위해 항공사와의 TF를 구성하여 운영중이다. 정시성은 항공기 안전 점검등 항공사 내부 요인 외에도 나쁜 날씨, 공항 혼잡등의 외부 요인의 영향도 받는다. 개인적으로는 그 어떤 서비스보다 정시 운항이 손님을 위한 제일 첫번째 서비스라고 생각한다.

📖 Reference (참고 자료)
** 위키피디아 자료
https://en.wikipedia.org/wiki/On-time_performance

On-time performance - Wikipedia

In public transportation, schedule adherence or on-time performance (OTP) refers to the level of success of the service (such as a bus or train) remaining on the published schedule. On time performance, sometimes referred to as on time running, is normally

en.wikipedia.org


** OAG 홈페이지
https://www.oag.com/on-time-performance-airlines-airports

What is On Time Performance (OTP)? | OAG

What is On-Time Performance for Airlines and Airports? Why is it important and what are its secrets? How can you improve your OTP rating?

www.oag.com


** [CIRIUM] THE ON-TIME PERFORMANCE REVIEW - Airlines and Airports
https://cdn.pathfactory.com/assets/154/contents/375092/7c7c2b51-1593-4c69-b58c-171ca10357bc.pdf

#항공 #항공사 #공항 #비행 #여행 #영어 #항공용어 #항공영어 #지상직 #승무원 #정시운항 #정시율 #aviation #airline #airliner #airport #flight #tour #english #otp #ontime #oag #cirium

728x90
Q-CODE
Q-CODE (ENG)
Q-CODE

대한민국 입국시 QR 코드만 찍고 검역대 통과하자!


56. Q-Code, 해외입국자 검역정보 사전 입력 시스템


Experience prompt quarantine service of the Republic of Korea through advanced inputting of quarantine information.

사전에 입력된 검역정보로 대한민국의 신속한 검역 서비스를 경험하세요.

* prompt 즉각적인, 신속한
* quarantine 격리, 격리하다
- quarantine station 검역소
* advanced 미리하는, 사전의
* quarantine information 검역정보

✈️ Viewpoint of Airliner (종사자의 이야기)

질병관리청에서 대한민국 입국자들에 대해 검역정보 사전입력 서비스를 제공한다.

싱가폴은 이미 유사한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고, 많은 나라들이 방문객들이 사전에 입국에 필요한 정보들을 입력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 [참고] 해외입국자 검역정보 사전 입력 서비스
1. 공식 서비스명
- 검역정보 사전입력 시스템 : Quarantine Information Pre-entry System
- 대한민국 검역정보 사전 입력 시스템 : Q-code (Quarantine-covid19 defence)

2. 이용 절차
1) (입국전) Q-Code 접속
- 본인 검역정보 입력
- 여권, 항공권, PCR 음성확인서등 미리 준비
2) (탑승전) QR 코드 발급
3) (도착후) 공항검역대 QR코드 스캔후 입국

3. Q-Code 시범운영
1) 대상 : 일본, 미국 등 출발 일부 항공기
2) 기간 : '22.2.21(월) 입국자부터 '22.3.11(금) 입국자까지

📖 Reference (참고 자료)

* Q-Code Website 바로가기
https://cov19ent.kdca.go.kr/cpassportal/

Q-code - Quarantine covid19 defence

cov19ent.kdca.go.kr


* COVID19 공지사항
http://ncov.mohw.go.kr/duBoardList.do?brdId=2&brdGubun=23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정식 홈페이지로 발생현황, 국내발생현황, 국외발생현황, 시도별발생현황, 대상별 유의사항, 생활 속 거리 두기, 공적마스크 공급현황, 피해지원정책, 홍보자료, FAQ, 관

ncov.mohw.go.kr


http://ncov.mohw.go.kr/shBoardView.do?brdId=2&brdGubun=23&ncvContSeq=6392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정식 홈페이지로 발생현황, 국내발생현황, 국외발생현황, 시도별발생현황, 대상별 유의사항, 생활 속 거리 두기, 공적마스크 공급현황, 피해지원정책, 홍보자료, FAQ, 관

ncov.mohw.go.kr


* 질병관리청 관련 홍보 글
https://www.kdca.go.kr/gallery.es?mid=a20503020000&bid=0003&b_list=9&act=view&list_no=145553&nPage=1&vlist_no_npage=1&keyField=&keyWord=&orderby=

질병관리청

질병관리청

www.kdca.go.kr


#항공 #항공사 #공항 #비행 #여행 #영어 #항공용어 #항공영어 #지상직 #승무원 #검역 #질병관리청 #aviation #airline #airliner #airport #flight #tour #english #qcode #quarantine

'B. 항공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58. Travel Bubble, 여행안전권역  (0) 2022.06.05
#57. OTP, 항공기 정시실적 (정시율)  (0) 2022.06.04
#55. SINE, 사인  (0) 2022.06.04
#54. antler, 사슴의 뿔  (0) 2022.06.04
#53. bird strike, 조류 충돌  (0) 2022.06.04
728x90
SINE

55. SINE, 사인


(해당 주제에 대한 설명을 위해 예시로 Worldspan 자료를 차용하였습니다.)

✏️ Definition (영어/한국어)

Each agent authorized to use a Worldspan® workstation is given a unique sine. This sine provides access capability and identifies actions performed by an individual (sine holder). The sine consists of six alpha/numeric characters plus a two-alpha duty code.

각각의 직원은 월드스팬 작업장을 사용하기 위해 고유의 사인(SINE)이 주어진다. 이 사인은 (작업 영역별) 접속 권한을 제공하며, 사인을 통해 직원별로 수행된 액션의 확인이 가능하다. 사인은 알파벳/숫자 6자리와 2자리의 duty code로 이루어져 있다.

* Worldspan : 세계 4대 GDS(Global Distribution System) 중 하나

* workstation : 작업장

* capability : 능력

* alpha/numeric character (alphanumeric character) : 알파벳 A-Z + 숫자 0 - 9



✈️ Viewpoint of Airliner (종사자의 이야기)


“가방을 다른 비행편으로 수속했다구???? 사인 누구야?”

SINE은 업무 시스템 접속을 위한 직원 고유의 ID이다. 주요 엔트리 마다 해당 작업을 수행한 직원의 SINE이 기록된다. 주로 작업 히스토리 확인 또는 어떠한 문제가 생겼을때, 경위 파악의 과정에서 SINE이 중요한 단서가 된다. 처음 SINE을 받았을때의 그 설렘을 잊을 수 없다.

** 샘플 명령어

BSIA1234WG/PD

- BSI : Better Sine In (Sine In 명령어)
- A : A 작업 구역
- 1234WG : 작업자 사인
- PD : duty code 중 하나

=> 1234WG SINE을 쓰는 직원이 PD duty code로 작업장 A에 SINE IN을 하는 명령어이다.

📖 Reference (참고 자료)

1101 Worldspan Functionality.pdf
0.04MB


#항공 #항공사 #공항 #비행 #여행 #영어 #항공용어 #항공영어 #지상직 #승무원 #월드스팬 #사인 #aviation #airline #airliner #airport #flight #tour #english #worldspan #gds #sine

728x90


54. antler, 사슴의 뿔


✏️ Definition (영어/한국어)

one of the two horns of a male deer
- 숫사슴의 두 뿔중의 하나
- 공항터미널에서 사슴뿔 처럼 튀어 나온 구역을 antler라고 부르기도 한다.

** 관련 뉴스 (Skyteam 웹사이트)
You can enjoy a traditional performance in the Korean Experience zones located at Antler 3F, or near Gate 31.

31번 게이트 근처에 있는 Antler 3층에 위치한 한국체험구역에서 전통공연을 즐길 수 있습니다.

✈️ Viewpoint of Airliner (종사자의 이야기)

Antlers (앤틀러)는 '사슴의 뿔' 이라는 뜻으로, 인천공항 터미널의 모습과 사슴의 뿔 모양을 대조해 보면 금방 이해가 될 것이다. 인천공항에는 동편과 서편 두개의 앤틀러가 있다.

* 참고) 옥스포드 영영사전

antlers


📖 Reference (참고 자료)

https://www.skyteam.com/en/skytransfer/seoul/cultural-museum-of-korea

SkyTeam - Seoul Incheon Airport (ICN) Cultural Museum of Korea

www.skyteam.com


http://www.mediapen.com/news/view/496640

연말부터 인천공항 입국장서 우리 문화유산 알린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우리나라의 관문인 인천공항 입국장 일부 구간에서 연말부터 한국의 문화유산을 알리는 영상이 상영된다.문화재청은 31일 인천국제공항공사와 이 같은 내용의 '인

www.mediapen.com


#항공 #항공사 #공항 #비행 #여행 #영어 #항공용어 #항공영어 #지상직 #승무원 #인천공항 #앤틀러 #aviation #airline #airliner #airport #flight #tour #english #icn #antler

'B. 항공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56. Q-Code, 해외입국자 검역정보 사전 입력 시스템  (0) 2022.06.04
#55. SINE, 사인  (0) 2022.06.04
#53. bird strike, 조류 충돌  (0) 2022.06.04
#52. pushback, 푸시백  (0) 2022.06.04
#51. Diplomatic bag, 외교 행낭  (0) 2022.06.04

+ Recent posts